반응형 종부세3 내년(2026년) 달라지는 부동산 세금, 꼭 알아야 할 체크포인트 5 1. 주택청약종합저축 소득공제 확대- 대상 확대: 2025년부터 무주택 세대주의 배우자까지 납입액 소득공제 적용 대상 포함- 공제한도: 납입액의 40%, 연 최대300만 원까지👉 이제 청약저축, 세대주만 혜택 보는 게 아니에요! 부부가 함께 저축하고 공제받을 수 있다니, 집 사기 전에 세금부터 아껴보세요~2. 인구감소·비수도권 미분양주택 세제 특례- 인구감소지역 주택 취득 세혜택: 2024.1.4~2026.12.31 취득 시 1세대1주택자로 인정- 미분양주택 취득 특례: 수도권 외 준공 후 미분양 주택에 대해 양도세 비과세 및 장기보유공제 적용👉 수도권만 보지 마시고, 지방에도 기회가 있어요! 세금도 줄고, 장기적으로 이익이 클 수도 있답니다~3. 양도소득세 중과 유예 연장- 다주택자 중과세 유예: .. 2025. 6. 25. 종부세 계산기, 계산 방법 (종합부동산세 핵심요약) 12월은 종부세 납부 기간입니다. 기준 세액을 확인하고 고지서에 대한 부분을 확인하시어 부당하게 종합부동산세를 더 내는 일이 없길 바랍니다. 종부세 계산기를 통해서 함께 계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종부세 납부 기간 : 12월 1일 ~ 12월 15일 부동산을 여러개 가지고 있는 경우 종합부동산세에 대한 부분을 필히 알고 있어야 합니다. 현재는 주택에 과도하게 종부세를 중과세하는 부분이 있는 만큼 주택은 더 예민한 부분입니다. 납세의무자 납세의무자는 다음과 같이 3개의 항목으로 나뉘어집니다. 주택 : 전국 합산 공시 가격 합계액을 6억을 초과하는 자 (*1세대 1주택자는 11억) 종합합산토지 : 전국 합산 토지의 공시 가격 합계액이 5억을 초과하는 자 별도 합산토지 : 전국 합산 토지 공시가격 합계액이 80억.. 2022. 12. 6. 종부세 특례신청 방법, 일시적2주택, 상속주택, 지방저가주택, 종합부동산세 주택수 합산배제 9월 16일 ~ 9월 30일까지 종부세 특례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해당 기간에 신청을 하지 않으시면 재산상의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으니 신청기간에 꼭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저도 신청 해당자이기 때문에 함께 신청을 하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신청방법을 쉽게 알려드릴 테니 하나씩 천천히 보시면서 따라 하세요! 천천히 해도 5분이면 가능하답니다! 신청은 홈택스에서 로그인 후 하실 수 있습니다. 국세청 홈택스 www.hometax.go.kr 특례신청 해당 1. 일시적 2주택 2. 지방 저가주택 3. 상속주택 4. 부부 공동명의 1~3번은 이번에 새롭게 신설된 부분입니다. 4번 부부 공동명의 특례신청은 기존과 동일하게 종합부동산세 신고 탭에서 신청하실 수 있고, 이번에 새로 신설된 부분은 신고하기 탭의 가장.. 2022. 9. 1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