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최저임금 인상 소식과 주휴수당 폐지 논란으로 인하여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주휴수당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고 주휴수당 계산기 이용 방법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근로자이거나 아르바이트를 한다면 당연히 받아야 하는 주휴수당인데요. 모르고 못 받는 경우도 있고, 알아도 상황상 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주휴수당 계산기와 이용 방법을 확인하여 당연한 내 권리를 찾으시길 바랍니다. 뭐든지 알고 못 받는 것과 모르고 못 받는 것은 하늘과 땅 차이겠죠.
◎ 목차 ◎
1. 주휴수당이란?
2. 주휴수당 계산기와 계산하는 방법
3. 주휴수당 미지급 시?
▼ 함께 보면 좋은 글
2023 주거급여 신청대상, 지원자격, 지원금액, 신청방법 총정리
2023 주거급여 신청자격과 지원 금액 바로 알아보겠습니다! 주거급여? 주거급여는 기초생활수급자에게 주거 안정에 필요한 임차료, 수선유지비, 등을 지원받는 내용을 말합니다. 지원 대상 ▶ 부
www.yanaboo.co.kr
2023 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과 혜택 총정리!
청년들 집중해서 잘 보세요! 청년도약계좌 5천만 원의 목돈을 쉽게 만들 수 있는 기회입니다. 윤석열 정부의 공약 중 하나인 청년도약계좌 알고 계신가요?? 10년 만기로 1억을 모을 수 있는 제도
www.yanaboo.co.kr
23년 공휴일과 대체공휴일 총정리!(황금연휴는 이렇게 세팅)
23년 공휴일과 대체공휴일 미리 체크하고 계획 잡자! 23년은 대체공휴일을 포함하여 116일을 쉴 수 있습니다. 22년보다 2일이 줄어들었는데요. 그래도 꿀 황금연휴들이 있으니 걱정하지 마세요. 모
www.yanaboo.co.kr
주휴수당이란?
주휴수당은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는 근로자가 일주일간 모두 개근했을 경우 유급휴일에 받는 돈인데요. 근로기준법에는 근로자에게 일주일에 평균 1회 이상 유급휴일 부여해야 합니다. 보통 월급을 받는 경우 임금에 주휴수당이 포함이 돼서 계산됩니다.
법을 참조하면, 하루에 3시간을 일하면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일하는 것으로 됩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휴일에 일을 하지 않아도 하루치의 임금을 추가로 받을 수 있는 것이죠. 즉, 주말(토, 일) 이틀 중 하루치는 임금이 발생되고 하루는 무급으로 처리가 되는 겁니다.
주휴수당 계산기 & 계산하는 방법
주휴수당 계산기를 이용하여 함께 계산을 해보겠습니다. 계산기는 네이버나 다음의 '시급 계산기'를 이용하도록 하겠습니다. 두 가지 모두 사용방법은 동일하니 네이버를 기준으로 설명드릴게요.
주휴수당이라고 하면 일주일 단위로 보니까 일주일 '주급'을 계산해 보겠습니다.
1. 가장 첫 번째로 시급을 선택해 줍니다.
2. 시급을 입력해 주시고 주급을 선택해 줍니다.
- 2023년 최저임금은 시간당 9,620원입니다.
3. 한 주의 근무시간을 적어주세요.
- 하루 8시간씩 금요일까지 근무인 경우 48시간을 입력해 줍니다. 5일 근무 + 1일 주휴수당
4. 계산하기를 눌러 주면 주당 받아야 할 금액이 계산됩니다. 이 금액보다 적게 주면 법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이죠.
이번에는 월급으로 계산을 해보겠습니다.
1. 주급이 아닌 월급으로 변경해 줍니다.
2. 한 달 근무시간은 하루 8시간을 근무할 경우 주휴시간 35시간이 포함되어 총 209시간이 계산됩니다.
다만, 8시간이 아닌 경우에는 주 별 주급을 계산하여 한 달 치를 따로 계산해야 합니다. 계산기에서 월급으로 계산하는 경우 주휴수당이 제외되어 계산됩니다.
[하루 5시간씩 토요일까지 근무인 경우 ]
주말에도 일을 하는 경우가 있죠?
이번에는 일주일에 6일을 나가는 경우도 계산을 해보겠습니다. 하루 근무시간을 5시간으로 선택하고 근무규정을 6일로, 그리고 근무 일수를 6일로 선택해 줍니다.
일주일간 총 근무시간은 30시간이 되죠?
여기의 5분의 1인 6만 원이 주휴수당입니다.
하루치인 5만 원이 주휴수당이 아니에요.
계산을 해 보았는데요. 생각보다 어렵진 않죠?
내 예상 주급을 확인해보고 사업주가 주휴수당을 계산을 했는지 확인을 꼭 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번 주에 30시간 일했으니 30만 원 받겠구나'
이런 생각을 하면 당신은 흑우!
주휴수당 미지급 시?
[주휴수당 지급 기준]
위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5인 이하 사업장에도 적용이 되고, 1주 동안 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이라면 법적으로 주휴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사업주는 주휴일을 근로계약서에 명시하고, 주휴수당을 지급해야 하는 것이죠.
[주휴수당 미지급 벌금]
주휴수당을 미지급하는 경우 법으로 보장된 임금이기 때문에, 임금체불이 됩니다. 그러면 노동자는 노동부에 신고하여 받지 못한 주휴수당을 사용자에게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사업주는 미지급에 대한 3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 원 이하의 벌금으로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때문에 아르바이트나 계약직이라는 이유로 부당하게 주휴수당을 지급하지 않는다면, 노동부에 신고하여 받으시길 바랍니다.
다만, 사업주도 사람이기 때문에 그냥 신고하기보다는 사전에 이야기 후 그래도 주지 않는다면 신고하는 편이 낫지 않을까 싶습니다. 오늘은 주휴수당 계산기 이용방법과 주휴수당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을 살펴보았습니다.
이상 야나부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세 연납 신청 기간과 방법 세금 혜택 총정리 (0) | 2023.01.08 |
---|---|
주휴수당 폐지 확정 되면 월급은 얼마나 줄어들까? (0) | 2023.01.06 |
23년 장병 내일준비 적금 총정리 (가입방법, 금리, 혜택 등) (0) | 2023.01.05 |
23년 군인월급 얼마일까? 계급별 월급 확인 (0) | 2023.01.05 |
23년 공휴일과 대체공휴일 총정리!(황금연휴는 이렇게 세팅) (0) | 2023.01.04 |
댓글